맨위로가기

신안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안군의 농어촌버스는 신안군 내 여러 읍면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2007년부터 시작된 공영버스 사업을 통해 2013년 신안군 전 지역에서 공영제를 달성했다. 운임은 연령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압해읍 지역에서는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2015년 기준, 신안군공영버스와 신안여객이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며, 각 읍면별로 지도읍, 압해읍, 증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신의면, 장산면, 안좌면, 팔금면, 암태면 등 다양한 노선으로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안군의 교통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부산광역시 중구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국도로, 도로 개량과 확장, 우회도로 건설 등을 거쳐 현재는 주요 간선도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왕복 2차선 도로로 구성되어 있고,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연결 우회도로와 다수의 교량 및 터널, 신안군 지역 연도교 건설, 일부 구간 4차선 확장 공사 등이 진행 중이다.
  • 신안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전라남도의 버스 교통 - 담양공용버스터미널
    담양공용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위치하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등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되는 터미널이다.
  • 전라남도의 버스 교통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신안군의 농어촌버스
기본 정보
지역신안군
구분농어촌버스
신안여객 1655
신안여객 1655
관리 기관신안군청 경제과
서비스 지역전라남도 신안군
노선 수42
인가 대수39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캐시비, 하나로, 한페이, 레일플러스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신한,
하나카드, 현대
사이트신안군의 농어촌버스 노선

2. 운임

2013년 10월 기준 요금이다.

종류나이현금 ()카드 ()
일반어른 (만 19세 이상)1,2001,150
청소년 (만 13세 ~ 18세)700650
어린이 (만 7세 ~ 12세)500450


  • 압해읍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에서만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공영버스는 만 65세 이상 노인은 무임승차가 가능하다.

3. 운수 업체

2015년 11월 기준으로 신안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는 업체와 등록 대수는 다음과 같다.[3]

운행업체등록대수
신안군공영버스35
신안여객4
합계39


4. 버스공영제

신안군2007년 임자도부터 농어촌버스 공영화를 시작하여 약 6년에 걸쳐 버스공영제 사업을 추진하였다. 2013년 1월 15일에는 신안군신안여객 간 관내 버스노선 양도·양수 협약을 체결하여 압해도 관내 20개 마을에 공영버스를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2013년 5월 20일 압해도에서 공영버스 운행 개시식을 가졌고, 이를 통해 신안군 전 지역 버스 공영제를 달성했다.[4]

5. 운행 노선

신안군의 농어촌버스는 각 · 별로 별개의 노선으로 운행한다.

5. 1. 지도읍

지도읍의 농어촌버스는 지도자동차여객공용터미널을 기점으로 총 3대의 버스(29호, 11호, 27호)가 여러 회차로 나뉘어 운행되고 있다.[5] 자세한 시간표는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01/village_info_01_05/ 지도읍 버스 시간표]를 참고하라.

운행
차량
회차운행 경로
29호[5]1터미널 - 참도 - 적동 - 송향 - 가정 - 외양 - 내양 - 둔곡 - 장동 - 터미널
2터미널 - 서부 - 고사 - 조비 - 금출 - 백련 - 서부 - 터미널
3터미널 - 장동 - 둔곡 - 송항 - 가정 - 외양 - 원내양 - 외양 - 송향 - 둔곡
4터미널 - 참도 - 적동 - 둔곡 - 장동 - 동부 - 서부 - 터미널
5터미널 - 서부 - 감정 - 백련 - 금출 - 점암 - 조비 - 고사 - 서부 - 터미널
6터미널 - 서부 - 장동 - 둔곡 - 송항 - 가정 - 외양 - 내양 - 적동 - 참도 - 서부 - 터미널
7터미널 - 서부 - 고사 - 조비 - 금출 - 점암 - 백련 - 감정 - 서부 - 터미널
8터미널 - 서부 - 장동 - 둔곡 - 송항 - 가정 - 외양 - 내양 - 적동 - 참도 - 동부 - 서부 - 터미널
9터미널 - 서부 - 감정 - 백련 - 금출 - 점암 - 조비 - 고사 - 서부 - 터미널
10터미널 - 장동 - 둔곡 - 적동 - 참도 - 송항 - 가정 - 외양 - 내양 - 터미널
11호[5]1터미널 - 당촌 - 묘동 - 탄동 - 원달리 - 내도 - 송도 - 서부 - 터미널
2터미널 - 월산 - 장동 - 둔곡 - 죽곡 - 봉동 - 심동 - 적동 - 서동 - 황금 - 서동 - 참도 - 심동 - 둔곡 - 터미널
3터미널 - 농협앞 - 서부 - 송도 - 하탑 - 내도 - 원달 - 탄동 - 묘동 - 당촌 - 탄동 - 원달 - 하탑 - 송도 - 서부 - 농협앞 - 터미널
4터미널 - 농협앞 - 서부 - 송도 - 내도 - 원달 - 탄동 - 묘동 - 당촌 - 묘동 - 탄동 - 원달 - 하탑 - 송도 - 서부 - 터미널
5터미널 - 농협앞 - 서부 - 송도 - 하탑 - 내도 - 원달 - 탄동 - 묘동 - 당촌 - 묘동 - 탄동 - 원달 - 하탑 - 송도 - 서부 - 터미널
6터미널 - 농협앞 - 서부 - 송도 - 하탑 - 내도 - 원달 - 탄동 - 묘동 - 당촌 - 묘동 - 탄동 - 원달 - 하탑 - 송도 - 서부 - 터미널
7터미널 - 농협앞 - 서부 - 월산 - 장동 - 둔곡 - 죽곡 - 심동 - 정동 - 서동 - 황금 - 참동 - 터미널
8터미널 - 농협앞 - 서부 - 송도 - 하탑 - 내도 - 원달 - 탄동 - 묘동 - 당촌 - 터미널
27호[5]1터미널 - 모래추 - 오룡 - 태이 - 연화 - 유동 - 안마 - 효지 - 진변 - 자동 - 동부 - 서부 - 터미널
2터미널 - 모래추 - 자동 - 진변 - 효지 - 안마 - 유동 - 연화 - 태천 - 오룡 - 모래추 - 적거 - 터미널 - 서부 - 터미널
3터미널 - 장동 - 둔곡 - 죽곡 - 봉동 - 심동 - 정동 - 서동 - 황금 - 동부 - 서부 - 터미널
4터미널 - 서부 - 적거 - 백양 - 모래추 - 자동 - 진변 - 효지 - 안마 - 유동 - 연화 - 태천 - 오룡 - 모래추 - 터미널 - 서부 - 터미널
5터미널 - 서부 - 장동 - 둔곡 - 죽곡 - 봉동 - 심동 - 정동 - 서동 - 황금 - 터미널 - 서부
6서부 - 터미널 - 적거 - 모래추 - 오룡 - 태천 - 태이 - 연화 - 유동 - 안마 - 효지 - 진변 - 자동 - 터미널
7터미널 - 서부 - 장동 - 둔곡 - 죽곡 - 봉동 - 심동 - 정동 - 서동 - 황금 - 터미널
8터미널 - 서부 - 적거 - 모래추 - 자동 - 진변 - 효지 - 안마 - 유동 - 연화 - 태천 - 태이 - 오룡 - 모래추 - 터미널
9터미널 - 서부 - 적거 - 모래추 - 자동 - 진변 - 효지 - 안마 - 유동 - 연화 - 태천 - 태이 - 오룡 - 모래추 - 터미널


5. 2. 압해읍

운행
차량
회차운행 경로
1호1중앙 - 신안군립도서관 - 용강 - 신기 - 두지 - 숭의 - 숭의선착장 - 큰골 - 의금 - 동교 - 신안군청 - 원신장 - 연막 - 원장감 - 기동 - 원장감 - 연막 - 원신장 - 신안군청 - 동교 - 의금 - 큰골 - 숭의선착장 - 숭의 - 두지 - 신기 - 용강 - 신안군립도서관 - 중앙
2중앙 - 신안군립도서관 - 용강 - 신기 - 두지 - 숭의 - 숭의선착장 - 큰골 - 의금 - 동교 - 신안군청 - 원신장 - 연막 - 원장감 - 기동 - 원장감 - 연막 - 원신장 - 신안군청 - 동교 - 의금 - 큰골 - 숭의선착장 - 숭의 - 두지 - 신기 - 용강 - 신안군립도서관 - 중앙
3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호래 - 금기 - 원가룡 - 하룡 - 삼수 - 가룡선착장 - 삼수 - 하룡 - 원가룡 - 금기 - 호래 - 목교 - 호룡 - 신촌 - 중앙
4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홀뫼산 - 세촌 - 남촌 - 중촌 - 원복룡 - 복룡나룻가 - 원복룡 - 중촌 - 남촌 - 세촌 - 홀뫼산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 압해중삼거리 - 구항삼거리 - 노인요양원 - 구항삼거리 - 압해중삼거리 - 중앙
5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호래 - 금기 - 원가룡 - 하룡 - 삼수 - 하룡 - 원가룡 - 금기 - 호래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6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홀뫼산 - 세촌 - 남촌 - 중촌 - 원복룡 - 복룡나룻가 - 원복룡 - 중촌 - 남촌 - 세촌 - 홀뫼산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 압해중삼거리 - 구항삼거리 - 노인요양원 - 구항삼거리 - 압해중삼거리 - 중앙
7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호래 - 금기 - 원가룡 - 하룡 - 삼수 - 가룡선착장 - 삼수 - 하룡 - 원가룡 - 금기 - 호래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8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홀뫼산 - 세촌 - 남촌 - 중촌 - 원복룡 - 복룡나룻가 - 원복룡 - 중촌 - 남촌 - 세촌 - 홀뫼산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 압해중삼거리 - 구항삼거리 - 노인요양원 - 구항삼거리 - 압해중삼거리 - 중앙
9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홀뫼산 - 세촌 - 남촌 - 중촌 - 원복룡 - 복룡나룻가 - 원복룡 - 중촌 - 남촌 - 세촌 - 홀뫼산 - 호래 - 금기 - 원가룡 - 하룡 - 삼수 - 원가룡 - 금기 - 호래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 압해중삼거리 - 구항삼거리 - 노인요양원 - 구항삼거리 - 압해중삼거리 - 중앙
2호1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홀뫼산 - 세촌 - 남촌 - 중촌 - 원복룡 - 복룡나룻가 - 원복룡 - 중촌 - 남촌 - 세촌 - 홀뫼산 - 호래 - 금기 - 원가룡 - 하룡 - 삼수 - 원가룡 - 금기 - 호래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 압해중삼거리 - 구항삼거리 - 노인요양원 - 구항삼거리 - 압해중삼거리 - 중앙
2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홀뫼산 - 세촌 - 남촌 - 중촌 - 원복룡 - 복룡나룻가 - 원복룡 - 중촌 - 남촌 - 세촌 - 홀뫼산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 압해중삼거리 - 구항삼거리 - 노인요양원 - 구항삼거리 - 압해중삼거리 - 중앙
3중앙 - 신안군립도서관 - 용강 - 신기 - 두지 - 숭의 - 숭의선착장 - 큰골 - 의금 - 동교 - 신안군청 - 원신장 - 연막 - 원장감 - 기동 - 원장감 - 연막 - 원신장 - 신안군청 - 동교 - 의금 - 큰골 - 숭의선착장 - 숭의 - 두지 - 신기 - 용강 - 신안군립도서관 - 중앙
4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홀뫼산 - 세촌 - 남촌 - 중촌 - 원복룡 - 복룡나룻가 - 원복룡 - 중촌 - 남촌 - 세촌 - 홀뫼산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 압해중삼거리 - 구항삼거리 - 노인요양원 - 구항삼거리 - 압해중삼거리 - 중앙
5중앙 - 신안군립도서관 - 용강 - 신기 - 두지 - 숭의 - 숭의선착장 - 큰골 - 의금 - 동교 - 신안군청 - 원신장 - 연막 - 원장감 - 기동 - 원장감 - 연막 - 원신장 - 신안군청 - 동교 - 의금 - 큰골 - 숭의선착장 - 숭의 - 두지 - 신기 - 용강 - 신안군립도서관 - 중앙
6중앙 - 신안군립도서관 - 용강 - 신기 - 두지 - 숭의 - 숭의선착장 - 큰골 - 의금 - 동교 - 신안군청 - 원신장 - 연막 - 원장감 - 기동 - 원장감 - 연막 - 원신장 - 신안군청 - 동교 - 의금 - 큰골 - 숭의선착장 - 숭의 - 두지 - 신기 - 용강 - 신안군립도서관 - 중앙
7중앙 - 신촌 - 회룡 - 목교 - 호래 - 금기 - 원가룡 - 하룡 - 삼수 - 하룡 - 원가룡 - 금기 - 호래 - 목교 - 회룡 - 신촌 - 중앙
8중앙 - 신안군립도서관 - 용강 - 신기 - 두지 - 숭의 - 숭의선착장 - 큰골 - 의금 - 동교 - 신안군청 - 원신장 - 연막 - 원장감 - 기동 - 원장감 - 연막 - 원신장 - 신안군청 - 동교 - 의금 - 큰골 - 숭의선착장 - 숭의 - 두지 - 신기 - 용강 - 신안군립도서관 - 중앙


5. 3. 증도면

증도면의 농어촌버스는 지도터미널과 증동리를 기점으로 2대의 버스(19호, 28호)가 운행한다.[5] 자세한 시간표는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03/village_info_03_05/ 신안군청 증도면 버스 시간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회차운행
차량
운행구간경유지
119호[5]면사무소지도터미널면사무소 - 곡도 - 박물관 - 돌마지 - 등선 - 대초리 - 덕정리 - 우전리 - 장고리 - 면사무소 - 지도터미널
2지도터미널증동리지도터미널 - 증도대교 - 면사무소 - 사동 - 장고리 - 우전리 - 대초리 - 등선 - 박물관 - 곡도 - 광암 - 증동리
3증동리증동리증동리 - 광암 - 곡도 - 박물관 - 돌마지 - 등선 - 대초리 - 덕정리 - 우전리 - 장고리 - 사동 - 증동리
4
5
6증동리지도터미널증동리 - 광암 - 곡도 - 박물관 - 돌마지 - 등선 - 대초리 - 덕정리 - 우전리 - 장고리 - 사동 - 짱뚱어다리 - 증동리 - 지도터미널
7지도터미널증동리지도터미널 - 송도 - 사옥도 - 광암 - 면사무소 - 광암 - 곡도 - 박물관 - 돌마지 - 등선 - 대초리 - 덕정리 - 우전리 - 장고리 - 사동 - 증동리
128호[5]증동리지도터미널증동리 - 염산 - 방축 - 오산 - 검산 - 오산 - 면사무소 - 광암 - 증도대교 - 사옥도 - 송도 - 지도터미널
2지도터미널증동리지도터미널 - 송도 - 사옥도 - 광암 - 곡도 - 버지 - 면사무소 - 오산 - 검산 - 방축 - 증동리
3증동리지도터미널증동리 - 염산 - 방축 - 오산 - 검산 - 오산 - 면사무소 - 광암 - 증도대교 - 사옥도 - 송도 - 지도터미널
4지도터미널증동리지도터미널 - 송도 - 사옥도 - 광암 - 곡도 - 버지 - 면사무소 - 오산 - 검산 - 방축 - 염산 - 증동리
5증동리지도터미널증동리 - 염산 - 방축 - 오산 - 검산 - 오산 - 면사무소 - 광암 - 증도대교 - 사옥도 - 송도 - 지도터미널
6지도터미널증동리지도터미널 - 송도 - 사옥도 - 광암 - 곡도 - 버지 - 면사무소 - 오산 - 검산 - 방축 - 염산 - 증동리


5. 4. 임자면

임자면의 농어촌버스는 신안군청에서 제공하는 시간표에 따라[5] 2대의 차량(23호, 20호)이 운행하며, 주로 진리선착장을 기점으로 필길리, 전장포, 하우리 등을 연결한다. 대광해수욕장 방면 노선도 운행한다.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04/village_info_04_05/ 임자면 버스 시간표

회차운행
차량
운행구간경유지
123호[5]필길리진리선착장필길리 - 삼두 - 저동 - 원상 - 부동 - 장동 - 회산 - 교동 - 진리 - 진리선착장
2진리선착장진리선착장진리선착장 - 진리 - 신명 - 화산 - 조삼 - 육암 - 대머리 - 육암 - 조삼 - 화산 - 신명 - 진리 - 진리선착장
3진리선착장진리선착장진리선착장 - 교동 - 회산 - 장동 - 부동 - 원상 - 저동 - 삼두 - 필길리 - 삼두 - 저동 - 원상 - 부동 - 장동 - 회산 - 교동 - 진리 - 진리선착장
4진리선착장진리선착장진리선착장 - 진리 - 신명 - 화산 - 조삼 - 육암 - 대머리 - 육암 - 조삼 - 화산 - 신명 - 진리 - 진리선착장
5
6진리선착장필길진리선착장 - 진리 - 교동 - 회산 - 장동 - 부동 - 원상 - 저동 - 삼두 - 필길 (이하 역순 왕복)
7진리선착장필길리진리선착장 - 진리 - 교동 - 회산 - 장동 - 부동 - 원상 - 저동 - 삼두 - 필길리
120호[5]전장포진리선착장전장포 - 괘길 - 도찬 - 삼막 - 대기 - 구산 - 교동 - 진리 - 진리선착장
2진리선착장하우리진리선착장 - 진리 - 교동 - 회산 - 광산 - 대광해수욕장 - 민박촌 - 하우리 (이하 역순 왕복)
3진리선착장전장포진리선착장 - 진리 - 교동 - 구산 - 대기 - 삼막 - 도찬 - 괘길 - 전장포 (이하 역순 왕복)
4진리선착장하우리진리선착장 - 진리 - 교동 - 회산 - 광산 - 대광해수욕장 - 민박촌 - 하우리 (이하 역순 왕복)
5
6진리선착장전장포진리선착장 - 진리 - 교동 - 구산 - 대기 - 삼막 - 도찬 - 괘길 - 전장포 (이하 역순 왕복)
7진리선착장하우리진리선착장 - 진리 - 교동 - 회산 - 광산 - 대광해수욕장 - 민박촌 - 하우리


5. 5. 자은면

자은면의 농어촌버스는 총 3대의 차량(7호, 10호, 18호)이 구영리 차고지, 팔금선착장, 암태선착장을 기점으로 하여 운행한다.[5]

회차운행 차량운행구간경유지
118호[5]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장계동 - 창촌 - 유천 - 진천 - 신흥 - 대율 - 송산 - 한운 - 둔장 - 두모 다산 - 두모 해송 - 두모 안동 - 두모 - 고장 - 고장2 - 구영 - 구영차고지
2구영차고지팔금선착장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오상1 - 천포 - 오상2 - 오상3 - 당산 - 기동 - 단고리 - 마명 - 신기 - 팔금선착장
3팔금선착장구영차고지팔금선착장 - 신기 - 마명 - 단고리 - 기동 - 당산 - 오상3 - 오상2 - 천포 - 오상1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4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구영 - 고장2 - 고장1 - 두모 - 두모 안동 - 두모 해송 - 두모 다산 - 둔장 - 한운 - 송산 - 대율 - 신흥 - 진천 - 유천 - 창촌 - 장계동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5
6구영차고지팔금선착장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오상1 - 천포 - 오상2 - 오상3 - 당산 - 기동 - 단고리 - 마명 - 신기 - 팔금선착장
7팔금선착장구영차고지팔금선착장 - 신기 - 마명 - 단고리 - 기동 - 당산 - 오상3 - 오상2 - 천포 - 오상1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8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구영 - 고장2 - 고장1 - 두모 - 두모 안동 - 두모 해송 - 두모 다산 - 둔장 - 한운 - 송산 - 대율 - 신흥 - 진천 - 유천 - 창촌 - 장계동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9구영차고지팔금선착장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오상1 - 천포 - 오상2 - 오상3 - 당산 - 기동 - 단고리 - 마명 - 신기 - 팔금선착장
10팔금선착장구영차고지팔금선착장 - 신기 - 마명 - 단고리 - 기동 - 당산 - 오상3 - 오상2 - 천포 - 오상1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11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구영 - 고장2 - 고장1 - 두모 - 두모 안동 - 두모 해송 - 두모 다산 - 둔장 - 한운 - 송산 - 대율 - 신흥 - 진천 - 유천 - 창촌 - 장계동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17호[5]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장계동 - 창촌 - 유천 - 욕지 - 진천 - 대율 - 송산 - 고교 - 둔장 - 다산 - 두모 - 고장 - 외기 - 구영 - 구영차고지
2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오상1 - 천포 - 오상2 - 오상3 - 당산 - 기동 - 오산 - 송공 - 활목 - 구석 - 신석1 - 신석2 - 오도 - 암태선착장
3암태선착장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 - 오도 - 신석2 - 신석1 - 구석 - 활목 - 송공 - 오산 - 기동 - 당산 - 오상3 - 오상2 - 천포 - 오상1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4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장계동 - 창촌 - 유천 - 욕지 - 진천 - 대율 - 송산 - 고교 - 둔장 - 다산 - 두모 - 고장 - 외기 - 구영 - 구영차고지
5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구영 - 외기 - 고장 - 두모 - 다산 - 둔장 -고교 - 송산 - 대율 - 진천 - 욕지 - 유천 - 창촌 - 장계동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6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오상1 - 천포 - 오상2 - 오상3 - 당산 - 기동 - 오산 - 송공 - 활목 - 구석 - 신석1 - 신석2 - 오도 - 암태선착장
7암태선착장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 - 오도 - 신석2 - 신석1 - 구석 - 활목 - 송공 - 오산 - 기동 - 당산 - 오상3 - 오상2 - 천포 - 오상1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8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장계동 - 창촌 - 유천 - 욕지 - 진천 - 대율 - 송산 - 고교 - 둔장 - 다산 - 두모 - 고장 - 외기 - 구영 - 구영차고지
9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구영 - 외기 - 고장 - 두모 - 다산 - 둔장 -고교 - 송산 - 대율 - 진천 - 욕지 - 유천 - 창촌 - 장계동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110호[5]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무선국 - 유각 - 백길 - 백길 흔질 - 면전 - 백산 염동 - 백산 - 백산 세튼밀 - 분계 - 신성1 - 신성2 - 와우 노루목 - 와우 - 장고 수문 - 장고 경로당 - 장고 목공소 - 구영사거리 - 구영 삼양마트 - 구영차고지
2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구영 삼양마트 - 구영사거리 - 장고 목공소 - 장고 경로당 - 장고 수문 - 와우 - 와우 노루목 - 신성2 - 신성1 - 분계 - 백산 세튼밀 - 백산 - 백산 염동 - 면전 - 백길 흔질 - 백길 - 유각 - 유각 무선국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3
4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오상1 - 천포 - 오상2 - 오상3 - 당산 - 기동 - 오산 - 송공 - 활목 - 구석 - 신석1 - 신석2 - 오도 - 암태선착장
5암태선착장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 - 오도 - 신석2 - 신석1 - 구석 - 활목 - 송공 - 오산 - 기동 - 당산 - 오상3 - 오상2 - 천포 - 오상1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6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금포 - 문평 - 유각 무선국 - 유각 - 백길 - 백길 흔질 - 면전 - 백산 염동 - 백산 - 백산 세튼밀 - 분계 - 신성1 - 신성2 - 와우 노루목 - 와우 - 장고 수문 - 장고 경로당 - 장고 목공소 - 구영사거리 - 구영 삼양마트 - 구영차고지
7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금포 - 문평 - 유각 - 남진 - 오상1 - 천포 - 오상2 - 오상3 - 당산 - 기동 - 오산 - 송공 - 활목 - 구석 - 신석1 - 신석2 - 오도 - 암태선착장
8암태선착장구영차고지암태선착장 - 오도 - 신석2 - 신석1 - 구석 - 활목 - 송공 - 오산 - 기동 - 당산 - 오상3 - 오상2 - 천포 - 오상1 - 남진 - 유각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9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구영차고지 - 구영 삼양마트 - 구영사거리 - 장고 목공소 - 장고 경로당 - 장고 수문 - 와우 - 와우 노루목 - 신성2 - 신성1 - 분계 - 백산 세튼밀 - 백산 - 백산 염동 - 면전 - 백길 흔질 - 백길 - 유각 - 유각 무선국 - 문평 - 금포 - 구영차고지


5. 6. 비금면

비금면의 농어촌버스는 면사무소와 가산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총 2대의 버스(30호, 15호)가 각기 다른 노선을 여러 차례 운행한다.[5]

  •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06/village_info_06_05/ 비금면 버스 시간표]


회차운행
차량
운행구간경유지
130호[5]면사무소가산선착장면사무소 - 서산 - 고막 - 원평 - 평림 - 신촌 - 자항 - 한산 - 읍동 - 덕대 - 구기 - 용호 - 수림 - 신유 - 지동 - 우산 - 도고 - 용소 - 나배 - 가출 - 가산선착장 - 가출 - 나배 - 용소 - 도고 - 우산 - 지동 - 신유 - 수림 - 용호 - 구기 - 비금중학교 - 읍동 - 면사무소
2면사무소가산선착장면사무소 - 서산 - 고막 - 원평 - 평림 - 신촌 - 자항 - 한산 - 읍동 - 덕대 - 구기 - 용호 - 수림 - 신유 - 지동 - 우산 - 도고 - 용소 - 나배 - 가출 - 가산선착장 - 가출 - 나배 - 용소 - 도고 - 우산 - 지동 - 신유 - 수림 - 용호 - 구기 - 비금중학교 - 읍동 - 한산 - 자항 - 신촌 - 평림 - 원평 - 고막 - 서산 - 면사무소
3면사무소대우병원면사무소 - 대우병원 - 읍동 - 덕대 - 구기 - 용호 - 수림 - 신유 - 지동 - 우산 - 도고 - 용소 - 당두 - 광대 - 나배 - 가출 - 가산선착장 - 나배 - 지동 - 덕대 - 읍동 - 면사무소
4읍동가산선착장읍동 - 덕대 - 구기 - 용호 - 수림 - 신유 - 지동 - 우산 - 도고 - 용소 - 나배 - 가출 - 가산선착장 - 가출 - 나배 - 용소 - 도고 - 우산 - 지동 - 신유 - 수림 - 용호 - 구기 - 덕대 - 읍동 - 한산 - 자항 - 신촌 - 평림 - 원평 - 고막 - 서산 - 면사무소
5
115호[5]면사무소가산선착장면사무소 - 읍동 - 망동 - 상암 - 수도 - 임리 - 죽치 - 외촌 - 내촌 - 월포 - 내포 - 외촌 - 죽치 - 대두 - 수도 - 송치 - 대우병원 - 수대선착장 - 수도삼거리 - 상암 - 망동 - 읍동 - 비금중학교 - 지동 - 당산 - 도고 - 용소 - 당두 - 광대 - 나배 - 가출 - 가산선착장
2가산선착장복지타운가산선착장 - 가출 - 나배 - 당두 - 광대 - 용소 - 도고 - 당산 - 지동 - 덕대 - 읍동 - 망동 - 상암 - 수도삼거리 - 임리 - 죽치 - 외촌 - 내촌 - 월포 - 내포 - 외촌 - 죽치 - 대두 - 수도 - 송치 - 대우병원 - 수대선착장 - 수대삼거리 - 상암 - 망동 - 읍동 - 복지타운
3면사무소읍동면사무소 - 읍동 - 망동 - 상암 - 수대삼거리 - 수대선착장 - 송치 - 대우병원 - 수도 - 대두 - 임리 - 죽치 - 외촌 - 내촌 - 월포 - 내포 - 외촌 - 죽치 - 임리 - 수도삼거리 - 상암 - 망동 - 읍동 - 한산 - 서산 - 고막 - 원평 - 평림 - 신촌 - 자항 - 읍동
4면사무소가산선착장면사무소 - 서산 - 고막 - 원평 - 평림 - 신촌 - 자항 - 한산 - 읍동 - 덕대 - 지동 - 당산 - 나배 - 당두 - 광대 - 가출 - 가산선착장 - 가출 - 광대 - 당두 - 나배 - 당산 - 지동 - 덕대 - 읍동 - 망동 - 상암 - 수대삼거리 - 임리 - 죽치 - 외촌 - 내촌 - 월포 - 내포 - 외촌 - 죽치 - 대두 - 수도 - 송치 - 수대삼거리 - 상암 - 망동 - 읍동
5읍동읍동읍동 - 덕대 - 지동 - 당산 - 나배 - 가출 - 가산선착장 - 가출 - 광대 - 당두 - 나배 - 당산 - 지동 - 덕대 - 읍동 - 망동 - 상암 - 수대삼거리 - 임리 - 죽치 - 외촌 - 내촌 - 월포 - 내포 - 외촌 - 죽치 - 대두 - 수도 - 송치 - 수대삼거리 - 상암 - 망동 - 읍동


5. 7. 도초면

도초면의 농어촌버스는 주로 면사무소, 화도, 대우병원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총 2대의 버스(13호, 4호)가 각기 다른 노선을 여러 차례 운행한다.[5] 운행 시간 및 경로는 아래와 같다.

회차운행
차량
운행구간경유지비고
113호[5]면사무소대우병원면사무소 - 한발 - 도락 - 소신 - 조진 - 이곡하 - 이곡상 - 도락 - 한발 - 용동 - 라포 - 나박포 - 신촌 - 화도 - 대우병원
2화도대우병원화도 - 신촌 - 나박포 - 라포 - 용동 - 한발 - 도락 - 이곡상 - 이곡하 - 조진 - 소신 - 도락 - 한발 - 용동 - 라포 - 나박포 - 신촌 - 화도 - 대우병원
3대우병원나박포대우병원 - 화도 - 신촌 - 나박 - 라포 - 용동 - 한발 - 도락 - 이곡상 - 이곡하 - 조진 - 소신 - 나박포승객 없을 시 운행노선 조정
4나박포화도나박포 - 한발 - 도락 - 이곡상 - 이곡하 - 조진 - 소신 - 도락 - 한발 - 용동 - 라포 - 나박포 - 신촌 - 화도
5화도화도 (나박포)화도 - 신촌 - 나박포 - 라포 - 용동 - 한발 - 도락 - 이곡상 - 이곡하 - 조진 - 소신 - 도락 - 한발 - 용동 - 라포 - 나박포 - 신촌 - 화도일반여객선 승객 없을 시 미운행(나박포까지만 운행)
6비금 수대화도쾌속선 운항일정에 따라 수대-화도 간 왕복 운행
14호[5]면사무소화도면사무소 - 수항 - 오류 - 엄목 - 시목 - 엄목 - 수항 - 신교 - 죽련 - 신교 - 고란 - 수항 - 나박포 - 신촌 - 외상 - 외하 - 지남 - 춘경 - 발매 - 화도분소 - 화도선창 - 대우병원 - 수대 - 화도
2화도대우병원화도선창 - 화도분소 - 발매 - 춘경 - 지남 - 외하 - 외상 - 신촌 - 나박포 - 수항 - 오류 - 엄목 - 시목 - 수항 - 신교 - 죽련 - 신교 - 수항 - 고란 - 수항 - 나박포 - 신촌 - 외상 - 외하 - 지남 - 춘경 - 발매 - 화도분소 - 대우병원
3대우병원화도대우병원 - 화도분소 - 발매 - 춘경 - 지남 - 외하 - 외상 - 신촌 - 나박포 - 수항 - 오류 - 엄목 - 시목 - 엄목 - 수항 - 신교 - 죽련 - 신교 - 수항 - 고란 - 나박포 - 화도선창승객 없을 시 운행노선 조정
4나박포화도나박포 - 수항 - 오류 - 엄목 - 시목 - 엄목 - 수항 - 신교 - 죽련 - 신교 - 고란 - 수항 - 나박포 - 신촌 - 외상 - 외하 - 지남 - 춘경 - 발매 - 화도분소 - 화도선창
5화도화도화도선창 - 나박포 - 수항 - 오류 - 엄목 - 시목 - 엄목 - 수항 - 신교 - 죽련 - 신교 - 고란 - 수항 - 나박포 - 신촌 - 외상 - 외하 - 지남 - 춘경 - 발매 - 화도분소 - 화도선창일반여객선 승객 없을 시 미운행
6화도나박포농협배 운행시간에 따라 조정


5. 8. 흑산면

흑산면의 농어촌버스는 예리와 읍동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크게 동면 방면과 서면 방면으로 나뉜다. 동면 방면 노선은 예리에서 출발하여 흑산도 동쪽 지역(청촌리, 천촌리, 소사리, 사리, 암동, 심리, 곤촌, 비리, 마리, 읍동, 진리)을 순환한 뒤 다시 예리로 돌아오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서면 방면 노선은 예리와 읍동 사이를 진리를 경유하여 왕복 운행한다.

자세한 운행 시간 및 경로는 아래 표와 같다.

  •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08/village_info_08_05/ 흑산면 버스 시간표] - 신안군청 제공


회차운행
방면
운행구간경유지
1흑산면 동면흑산면 예리흑산면 예리예리 - 청촌리 - 천촌리 - 소사리 - 사리 - 암동 - 심리 - 곤촌 - 비리 - 마리 - 읍동 - 진리 - 예리
2흑산면 예리흑산면 예리예리 - 진리 - 읍동 - 마리 - 비리 - 곤촌 - 심리 - 암동 - 사리 - 소사리 - 천촌리 - 청촌리 - 예리
3흑산면 예리흑산면 예리예리 - 청촌리 - 천촌리 - 소사리 - 사리 - 암동 - 심리 - 곤촌 - 비리 - 마리 - 읍동 - 진리 - 예리
4흑산면 예리흑산면 예리예리 - 진리 - 읍동 - 마리 - 비리 - 곤촌 - 심리 - 암동 - 사리 - 소사리 - 천촌리 - 청촌리 - 예리
5흑산면 예리흑산면 예리예리 - 청촌리 - 천촌리 - 소사리 - 사리 - 암동 - 심리 - 곤촌 - 비리 - 마리 - 읍동 - 진리 - 예리
6흑산면 예리흑산면 예리예리 - 진리 - 읍동 - 마리 - 비리 - 곤촌 - 심리 - 암동 - 사리 - 소사리 - 천촌리 - 청촌리 - 예리
7
1흑산면 서면흑산면 예리흑산면 읍동흑산면 진리
2
3
4
5
6
7
8


5. 9. 하의면

하의면의 농어촌버스는 전월과 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1대의 차량(25호)[5]이 총 5회에 걸쳐 동일한 노선을 운행한다. 자세한 운행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신안군청에서 제공하는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09/village_info_09_05/ 하의면 버스 시간표를 참고할 수 있다.

회차운행 차량운행 구간경유지
125호[5]전월선착장전월 - 종남리 - 너리섬 - 작은개 - 운산 - 대리 - 당두 - 전광 - 오류동 - 선착장 - 언동 - 피섬 - 유호리 - 봉도 - 오림 - 뒷개 - 선착장
2
3
4
5


5. 10. 신의면

신의면의 농어촌버스는 면사무소와 동리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2대의 차량(5호, 26호)이 각 6회차씩 운행한다.[5]

회차운행 차량운행구간경유지
15호[5]면사무소동리선착장면사무소 - 소장동 - 동면 - 서리 - 소장동 - 면사무소 - 모농리 - 가락리 - 동리선착장
2동리선착장면사무소동리선착장 - 가락리 - 모농리 - 면사무소 - 소장동 - 서리 - 동면 - 당두선착장 - 소장동 - 면사무소삼거리 - 구만 - 뫼산끝 - 노은 - 원목 - 기동 - 원목 - 노은 - 구만 - 면사무소
3면사무소동리선착장면사무소 - 소장동 - 서리 - 동면 - 서리 - 소장동 - 면사무소 - 모농리 - 가락리 - 동리선착장
4동리선착장면사무소동리선착장 - 가락리 - 모농리 - 면사무소 - 소장동 - 서리 - 동면 - 소장동 - 면사무소
5면사무소동리선착장면사무소 - 소장동 - 당두선착장 - 동면 - 서리 - 소장동 - 면사무소 - 모농리 - 가락리 - 동리선착장
6동리선착장면사무소동리선착장 - 가락리 - 모농리 - 면사무소 - 소장동 - 서리 - 동면 - 소장동 - 면사무소
126호[5]면사무소동리선착장면사무소 - 굴암리 - 새몰 - 황성금리 - 기동 - 원목 - 노은 - 뫼산끝 - 구만 - 면사무소 - 동리선착장
2동리선착장면사무소동리선착장 - 면사무소 - 구만 - 뫼산끝 - 노은 - 원목 - 기동 - 황성금리 - 새몰 - 굴암리 - 면사무소
3면사무소동리선착장면사무소 - 구만 - 뫼산끝 - 노은 - 기동 - 굴암리 - 새몰 - 황성금리 - 기동 - 원목 - 노은 - 뫼산끝 - 구만 - 면사무소 - 동리선착장
4동리선착장면사무소동리선착장 - 면사무소 - 구만 - 뫼산끝 - 노은 - 원목 - 기동 - 황성금리 - 새몰 - 굴암리 - 면사무소
5면사무소동리선착장면사무소 - 굴암리 - 새몰 - 황성금리 - 기동 - 원목 - 노은 - 뫼산끝 - 구만 - 면사무소 - 동리선착장
6동리선착장면사무소동리선착장 - 면사무소 - 구만 - 뫼산끝 - 노은 - 원목 - 기동 - 황성금리 - 새몰 - 굴암리 - 면사무소


5. 11. 장산면

신안군 장산면의 농어촌버스는 신안군 공영버스 2대(12호, 21호)가 운행하며, 주로 축강과 대머리, 면사무소, 앤두 등을 기점으로 순환 운행한다.[5]

  • [http://www.shinan.go.kr/home/www/about/village_info/village_info_11/village_info_11_05/ 장산면 버스 시간표]


회차운행
차량
운행구간경유지
112호[5]축강축강축강 - 두루메 - 팽진1리 경로당 - 활목 - 비소 - 중산 - 공수1리 - 마초 - 오음1리 - 우체국 - 보건소 - 대리1리 - 신촌 - 통머리 - 다수1리 - 신촌 - 건너돔 - 중용 - 두루메 - 축강
2
3
121호[5]대머리대머리대머리 - 시미경로당 - 두동 - 우체국 - 포건소 - 대리1리 - 목에 - 앤두 - 목에 - 대리1리 - 보건소 - 우체국 - 오음1리 - 앞면 - 북강 - 앞면 - 오음1리 - 우체국 - 보건소 - 대리1리 - 목에 - 앤두 - 목에 - 대리1리 - 보건소 - 우체국 - 두동 - 시미경로당 - 대머리
2면사무소면사무소면사무소 - 오음1리 - 앞면 - 북강 - 앞면 - 오음1리 - 우체국 - 보건소 - 대리1리 - 목에 - 앤두 - 목에 - 대리1리 - 보건소 - 우체국 - 두동 - 시미경로당 - 대머리 - 시미경로당 - 두동 - 우체국 - 면사무소
3앤두앤두앤두 - 목에 - 대리1리 - 보건소 - 우체국 - 오음1리 - 앞면 - 북강 - 앞면 - 오음1리 - 우체국 - 두동 - 시미경로당 - 대머리 - 시미경로당 - 두동 - 우체국 - 보건소 - 대리1리 - 목에 - 앤두


5. 12. 안좌면

wikitext

회차운행
방면
운행구간경유지비고
1안창면사무소읍동면사무소 - 탑마트 - 농협 - 창마 - 대척 - 남강 - 학하 - 향목 - 존포 - 복호선착장 - 대리 - 산두 - 여흘 - 읍동학생등교차, 학생등교일만운행
2면사무소읍동면사무소 - 탑마트 - 농협 - 창마 - 대척 - 남강 - 학하 - 향목 - 여흘 - 산두 - 대리 - 복호선착장 - 읍동
3면사무소읍동면사무소 - 탑마트 - 농협 - 창마 - 대척 - 남강 - 학하 - 향목 - 여흘 - 대리 - 복호선착장 - 복호양골 - 존포 - 향목 - 여흘 - 대리 - 산두 - 탄동새운안 - 탄동 - 금산 - 금산 제섬마을입구 - 와우 - 읍동
4면사무소읍동면사무소 - 읍동 - 농협 - 창마 - 대척 - 남강 - 학하 - 향목 - 여흘 - 대리 - 복호선착장 - 대리 - 산두 - 여흘 - 향목 - 남강 - 대척 - 창마 - 읍동
5면사무소읍동면사무소 - 읍동 - 와우 - 금산 - 탄동 - 산두 - 대리 - 복호선착장 - 복호 양골 - 존포 - 향목 원마을 - 여흘 - 학하 - 남강 - 대척 - 창마 - 읍동
6고등학교읍동고등학교 - 창마 - 대척 - 남강 - 학하 - 향목 - 여흘 - 산두 - 대리 - 복호선착장 - 읍동학생하교차, 학생등교일만운행
7고등학교고산고등학교 - 창마 - 대척 - 남강 - 학하 - 향목 - 여흘 - 향목 - 존포 - 복호선착장 - 대리 - 산두 - 금산 - 탄동 - 와우 - 읍동 - 마진 - 팔금 - 읍리 - 고산학생하교차, 학생등교일만운행
1서부면사무소면사무소면사무소 - 초등학교 - 신촌 - 대우 - 대우경로당 - 비아목 - 전진 - 내호 - 전진 - 방월서부교회 - 방월 - 한운북지선착장 - 한운경로당 - 오동경로당 - 시서 - 광암 - 마진 - 면사무소 - 읍동선착장 - 면사무소기타 기상 상황에(인원수, 안개, 강풍 등)따라 변동 가능
2
1남부면사무소읍동면사무소 - 탑마트 - 농협 - 창마 - 마명 - 우목 - 구대 - 마명 - 소곡 - 두리 - 소곡 - 창마 - 읍동
2면사무소면사무소면사무소 - 압너리선착장 - 농협 - 창마 - 소곡 - 두리 - 소곡 - 마명 - 구대 - 우목 - 구대 - 마명 - 창마 - 읍동 - 압너리선착장 - 면사무소


5. 13. 팔금면

회차운행
방면
운행구간경유지
1팔금면사무소백계선착장면사무소 - 읍산두 - 장목 - 서근 - 원산 - 대산두 - 대심 - 백계선착장 - 읍리 - 거문 - 고산 - 당고 - 이목 - 진고 - 읍리 - 장촌 - 원마 - 고교 - 백계선착장
2백계선착장안좌면 읍동선착장백계선착장 - 대심 - 대산두 - 원산 - 서근 - 장목 - 읍산두 - 장촌 - 읍리 - 진고 - 이목 - 거문 - 당고 - 고산선착장 - 당고 - 이목 - 읍리 - 읍산두 - 장목- 원산 - 대산두 - 대심 - 읍동선착장
3안좌면 읍동선착장면사무소읍동선착장 - 대심 - 대산두 - 원산 - 장촌 - 읍산두 - 읍리 - 이목 - 거문 - 당고 - 고산 - 당고 - 이목 - 진고 - 읍리 - 장촌 - 원마 - 고교 - 백계선착장 - 읍동선착장 - 고교 - 원마 - 장촌 - 읍리 - 진고 - 이목 - 당고 - 고산선착장 - 당고 - 이목 - 면사무소
4면사무소면사무소면사무소 - 백계선착장 - 원산 - 서근 - 장목- 읍산두 - 장촌 - 읍리 - 진고 - 이목 - 거문 - 당고 - 고산선착장 - 당고 - 이목 - 읍리 - 거문 - 당고 - 고산선착장 - 당고 - 이목 - 읍리 - 장촌 - 원마 - 고교 - 백계선착장 - 대심 - 대산두 - 원산 - 서근 - 장목 - 읍산두 - 장촌 - 읍리 - 진고 - 이목 - 거문 - 당고 - 고산선착장 - 당고 - 이목 - 면사무소


5. 14. 암태면

암태면의 농어촌버스는 주로 암태면사무소, 오도선착장, 백계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9호와 31호[5] 두 대의 차량이 각기 다른 노선을 맡아 여러 차례 운행한다.

회차운행 차량운행 구간경유지
19호[5]암태면사무소오도선착장암태면사무소 - 암태중 - 기동·오산 - 해당 - 송곡 - 활목 - 탄금 - 구석 - 신석 - 장뜰 - 익금 - 복수·생낌 - 진작지 - 오도 - 오도선착장 - 진작지 - 오도 - 장뜰 - 익금 - 생낌·복수 - 신석 - 구석 - 탄금 - 활목 - 송곡 - 해당 - 오산·기동 - 암태중 - 암태면사무소
2암태면사무소오도선착장암태면사무소 - 암태중 - 기동·오산 - 해당 - 송곡 - 활목 - 탄금 - 구석 - 신석 - 복수·생낌 - 익금 - 장뜰 - 진작지 - 오도 - 오도선착장 - 진작지 - 오도 - 장뜰 - 익금 - 생낌·복수 - 신석 - 구석 - 탄금 - 활목 - 송곡 - 해당 - 오산·기동 - 암태중 - 암태면사무소
3
131호[5]암태면사무소백계선착장암태면사무소 - 단고 - 추엽 - 포도 - 수곡 - 도창 - 와촌 - 신기 - 중흥 - 신기·남강 - 백계선착장 - 신기·남강 - 중흥 - 신기 - 와촌 - 도창 - 수곡 - 추엽 - 포도 - 단고 - 암태면사무소 - 농협주유소
2농협주유소암태면사무소농협주유소 - 단고 - 수곡 - 추엽 - 포도 - 도창 - 와촌 - 신기 - 중흥 - 마명 - 암태면사무소
3백계선착장농협주유소백계선착장 - 신기·남강 - 중흥 - 신기 - 와촌 - 도창 - 수곡 - 추엽 - 포도 - 단고 - 농협주유소 - 단고 - 추엽 - 포도 - 수곡 - 도창 - 와촌 - 신기 - 중흥 - 신기·남강 - 백계선착장
4백계선착장암태면사무소백계선착장 - 신기 - 중흥 - 와촌 - 도창 - 수곡 - 추엽 - 포도 - 단고 - 암태면사무소


6. 타 지역 운행 버스

(내용 없음)

6. 1. 무안군

무안교통에서 무안군신안군해제면, 지도읍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6. 2. 목포시

목포시130번 버스가 목포해양대학교 후문, 신안군청(압해읍 소재), 송공항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참조

[1] 문서 130번만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2] 문서 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3] 웹사이트 도내 버스 등록현황 http://www.jeonnam.g[...] 전라남도청 도로교통과 2015-11-06
[4] 웹사이트 신안군, 버스공영제 완결 짓다!!"맞춤형 교통복지 실현으로 살기 좋은 신안 만들어" http://www.shinan.go[...] 신안군청 2013-05-21
[5] 문서 본 시간표에는 차량번호가 되어 있으나 편의상 뒷자리만 적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